보통 화살이라는 녀석에는 화살촉이라는 새의 깃털로 만든 화살의 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새한테도 개인차가 있다는 것이다. 사람에 똑같은 지문을 가진 사람이 없듯이, 새의 깃털에도 개인차가 있다.
그래서 화살 하나에 세 개 혹은 네 개의 화살촉이 달린 것이 기본인데, 이 화살촉은 모두 같은 새의 개체에서 가져와야 한다. 한 화살에 두 마리 이상의 새의 깃털을 모아 만든 제품은 화살날개의 공기저항이 달라져 활의 명인이 사용해도 똑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그래서 저격용, 즉 명중 정확도가 요구되는 화살과 적이 집단으로 몰려왔을 때 집단 어딘가에 맞기만 하면 되는 난사용 화살을 따로 구분해야 하는 것이다.
활과 화살 장인들도 장인으로서의 자부심이 있기 때문에 보통 납품되는 화살은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이번 콜트레치스 후작 측처럼, 어쨌든 물량을 많이 준비해야 한다거나 하면 그런 혼합 깃털의 화살이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 만약을 대비해 모두 난사용으로 해두는 것도 어쩔 수 없다.
이어서 보고가 올라온 것은 콜트레치스 후작령의 영도 콜트스에 제3의 도시인 후스한에서의 원군이 도착한 모양이라는 것이었다. 그래도 왕국군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숫자이니, 농성을 고를 수밖에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콜트스와 이곳 포안 사이에 있는 요새는 여전히 교전의 의지를 유지하고 있는 것 같다. 시간 벌이 정도는 될 것 같긴 한데...... 의미가 있을까? 그렇게까지 해서라도 시간을 벌어야 하는 의미란 무엇일까.
"콜트레치스 후작 측의 본거지인 콜트스에 관해서는 어떤가?"
"콜트스는 현재 표면적으로는 평온을 유지하고 있는 것 같지만, 교회를 통한 정보에 따르면 내부적으로 동요가 일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렵군."
크랭크 자작의 보고에 왕세자 전하가 그렇게 답하자, 몇몇이 고개를 끄덕였다. 콜트레치스 후작령에 있을 신탁의 여사제가 마족으로 바뀌었다면, 교회 자체가 모두 적의 손에 넘어갔을 가능성도 있다.
그 교회가 콜트레치스에서 왕이 나온다고 계속 주장한다면 믿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현재로서는 콜트스 교회에서 나오는 정보에 대해서는 너무 믿지 않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확실하다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건 미확인이지만 ......"
크랭크 자작의 발언에,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말문이 막히는 표정을 지었다. 콜트레치스의 둘째 아들이 그 신탁의 여사제를 매일 밤마다 침실로 끌어들이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고 있다고 한다.
장남은 라우라를 노리고 있었는데, 차남은 누구라도 좋은 거냐며 따지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무시할 수도 없겠군."
"예. 그것 또한 어떠한 음모일지도 모릅니다"
크랭크 자작이 고개를 끄덕이며 대답했다. 전하의 의구심도 이해는 가지만, 그렇다면 목적이 무엇일까. 만약 초대하는 쪽과 초대받는 쪽이 반대라면, 팔리츠의 넷째 왕자도 그 신탁의 여사제에게 잡아먹혔을지도 모른다.
음, 뭔가 생각났어. 잠깐만.
"체아펠트 자작, 팔리츠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이쿠, 생각은 잠시 중단. 우선 전하의 질문에 답해야겠어. 하지만 이것도 정보가 부족한데.
"확신할 수는 없지만, 팔리츠의 국왕이 내정 면에서는 일단 명군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안전 확보의 의미가 있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안전 확보?"
정말 듬직한 미타크 자작이 의문을 제기했다. 크랭크 자작과 미타크 자작은 나보다 나이가 조금 많은 정도라서, 거의 동년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쟁의식은 크랭크 자작보다 이 미타크 자작이 더 강한 것 같다.
왕세자 전하가 위에 있으면, 경쟁의식은 둘째치고 비방 같은 걸 하면 비방한 쪽의 평가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럴 걱정은 없지만, 그것은 여담.
먼저 팔리츠 측이 들었다는, 왕자가 있으면 이길 수 있다는 신탁이 내려왔다는 것을 설명한 뒤 현재의 가설을 말한다.
"신탁이 사실이라면, 왕자를 보내지 않고 패배하면 팔리츠의 입지가 더 위태로워집니다. 겉으로는 바인 왕국과 콜트레치스 후작과의 내전이지만, 그 이면의 사정은 명백하니까요."
"그건 확실히 그렇군."
도호나니 남작이 고개를 끄덕이자 나도 고개를 끄덕이며 말을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