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콜트레치스 영지의 서쪽에서 침입해 온 포글러 백작가의 깃발을 든 군대의 인원이 오천 명에 이른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예상치 못한 대규모 병력이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 포글러 백작 가문 군대는 영내 제2도시인 포안의 서쪽에 있는 요새를 노려보는 위치에서 수로를 확보한 상태로 야전진을 만들며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방치할 수도 없어서, 콜트레치스 측이 원하는 대로 군대를 움직일 수도 없는 상황이다.
"아마도 제2기사단이 합류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습을 감췄다고는 들었지만 혹시."
왕국군의 움직임은 콜트레치스 측의 이해를 넘어섰다. 제2기사단은 첫 전투에서 가장 서쪽의 요새를 제압한 후, 왜인지 그대로 왕국군 본부에 합류하지 않고 왕도 방면으로 돌아갔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서쪽에서 새로운 대군의 침입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콜트레지스 측은 제2기사단이 합류한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문관 출신의 포글러 백작이 지휘하는 것이라면 5천 명이라도 방법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제2기사단의 힌데르만이 지휘를 맡고 있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최정예까지는 아니더라도 숫자만큼의 실력을 발휘할 것으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주성 지성제의 단점은, 지성이 공략당하면 그곳이 주성 공격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포안 근교의 요새가 함락되면 포안이 위태로워지는 것은 물론이고, 포안이 함락되면 영도인 콜트스까지 단숨에 위험에 처하게 된다.
포안 서쪽에 5천 명의 병력이 배치되어 있는 상황이라서 콜트레치스 측이 함부로 출격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한편, 함락된 세 개의 요새 중 두 개는 곧장 파괴되어 그 목재가 도로의 울타리로 쓰이는 모양새가 되었다. 그다지 튼튼한 울타리는 아니지만, 부서지면 주변에 마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도로의 안전 대책으로는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베르너가 함락시킨 요새만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서 아무래도 물자의 집결지라는 것까지는 알 수 있지만, 미끼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어서 현재 콜트레지스 측에서는 방치하고 있는 상태다.
콜트레치스 측의 오산은, 모처럼 모았던 모험가나 용병들이 콜트레치스 영지에서 벗어났다는 점일 것이다. 이는 신전을 통해 콜트레치스 가문의 장남이 마군 측에 가담했다는 소문이 돌았다는 측면도 있지만, 그뿐만이 아니다.
베르너가 콜트레치스 영지에서 대량의 건초를 사들일 때, 짐을 호위한다는 명목으로 용병과 모험가들을 고용해 왕도로 데려가 버린 것이다.
정규 기사나 병사들보다 유격전이나 게릴라전에 익숙한 그들을 콜트레치스 측에서 떼어놓음으로써, 콜트레치스 후작가는 두 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하나는 정보 수집의 유연성을 잃은 것과, 자군의 보급선이 종종 마물에 의해 끊어진다는 것이다.
마물, 특히 어디랄 것 없이 나타나는 [방황하는 마물]은 왕국군과 콜트레치스 후작가의 군대를 구분하지 않는다. 베르너는 자기 군의 보급선이 애를 먹는다면 상대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콜트레치스 영내의 마물 사냥 능력을 떨어뜨려 간접적으로 상대의 보급선에 부담을 주려는 계략을 꾸미고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농민들까지 병사로 내보내어 영지의 방어 태세를 구축한 콜트레치스 측은 마물의 횡행을 막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침공해 온 왕국군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마을까지 생겨나고 있는 형편이다.
발밑부터 무너지는데도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 여기저기서 발생하고 있다.
"팔리츠의 기병은 어떻게 되었나?"
"전혀 정보가 없습니다."
후작부인의 질문에 라우터바흐가 고개를 숙였다. 콜트레치스 영내의 서쪽이 포글러 백작군으로 인해 단절된 상태라면, 북쪽은 왕국군에 의해 단절된 상태이다.